본문 바로가기

Fragment/Book

독서단상2. 『저녁의 구애』 외


1. 덫 그 이전, 『저녁의 구애』, 『사육장 쪽으로』

저녁의구애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편혜영 (문학과지성사, 2011년)
상세보기
 
사육장쪽으로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편혜영 (문학동네, 2007년)
상세보기
 
키워드는 '덫'이다. 시종 섬짓하다. 가장 가벼운 것이라도 의뭉스럽고, 암울한 것은 장을 넘기기도 찝찝하다. 그러나 끔찍이나 참혹과는 다르다. 인물들은 사건에 무릎 꿇려 울고 있지 않다. 인과의 앞이나 뒤, 혹은 양 쪽이 잘린 채, 뭔가 잘못되어 가는 것 같은 기분으로 걸어만 가고 있다. 넘어지고 있는, '기우뚱'의 시간. 『사육장 쪽으로』가 이 순간을 꼬집어 늘려놓았다면, 『저녁의 구애』는 그 끝을 이어 동그마니 붙여놓았다. 반복의 덫이다. 그래서인지 전작의 묘사에 동물성이 많은데도, 후자가 더 그로테스크하다. 저자에게 반복은 선택이 거세된, 그러나 조금이라도 금을 넘으면 숲에 들어서는, 지속적으로 불유쾌하고 불안할 수평의 덫이다. 그 올가미가 띤 일상성이 무섭다. "누군 안 그러고 사나." 저자에 따르면 우리는, 뭔가에 걸렸는지도 모른 채, 다물리기 직전의 순간에 살고 있다. 


2. 결국 그런게 사람이란다, 『그 남자네 집』, 『너무도 쓸쓸한 당신』

그남자네집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박완서 (현대문학, 2004년)
상세보기
 
 
너무도쓸쓸한당신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박완서 (창작과비평사, 2006년)
상세보기

아름답다거나 따뜻한, 같은 수식은 집어넣도록 하자. 문장은 담담하고 편하다. 저자는 그 잔잔한 강물에 돌 던지기의 글을 쓴다. 그 돌은 물론, 솔직함이다. 안 써도 되는 것들을 꾸역꾸역 쓰고, 그렇게 쓰진 않아도 될 것들을 그렇게 쓴다.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 한 편만 끄집어보자. 상황이 참 곤란하다. 늙은이 냄새가 날까 비누를 장에 넣어 놓을 만큼 품위롭게 살자했던 어머니가 병으로 하필 배변을 못가리게 됐다. 거개의 표현도 돌려쓰지 않아 난처하다. 난봉꾼 아비를 앞에두고 위엄있게 산 어른이 "사춘기 때는 배알도 빼놓은 여자처럼 보였다"고 말하고, 똥구멍이니 괄약근이니 참 있는대로 쓴다 싶다. 압권은 글의 말미다. 암 소식을 듣고 "여보, 사랑해, 사랑해"라고 말하는 아버지에 웃음이라니. 대부분의 순간에서 슬픔도, 사랑도 '소설처럼' 아름답게 다듬어져있지 않다. 그런 맨살을 드러낸- 서운함, 낯부끄러움, 포기, 무지, 촌스러움, 어긋남 같은- 것들의 인간적인 냄새를 인정하고 적고 있기 때문에, 글은 연민이다. 때문에 사람에 아주 가깝다. 


3. 집요하게 세계의 틈으로 파고들어, 탁, 『기차는 7시에 떠나네』, 『딸기밭』

기차는7시에떠나네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신경숙 (문학과지성사, 1999년)
상세보기

딸기밭
카테고리 소설 > 한국소설
지은이 신경숙 (문학과지성사, 2000년)
상세보기

초기작부터 최근까지 고집스럽게 이어진 작가 특유의 것들이 도드라진다. 도회와 흙냄새의 교차, 살갗 맞댐에 대한 애정, 상실에서 비롯된 병적 심리, (전화, 글, 소리 등을 통한) 먼 곳에서의 위로. 많은 경우에, 저자는 주인공들을 어딘가로 보내어 상실을 상기시키고 직시케 해 위로의 실마리를 얻는데, 장편은 좀 더 이 여정을 길게 빼낸다. 언젠가 설핏 밝힌 것처럼 거짓말 같은 환청, 망각이나 실명 등의 소재는 종종 작위적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시기적절하게, 『딸기밭』의 해설(김병익 평론가)이 내 의문에 답변을 던진다. 그것들은 "아무것도 믿을 수가 없"는, 내가 아직 밟지 않은 "블랙홀"들,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그 슬픔의 우연성 그 자체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 얼어터진 찬 손을 끌어당기는 그러쥠이 도타워진다. "무슨 일에든 바닥이 있지 않겠니. 언젠가는 발이 거기에 닿겠지. 그때, 탁 차고 솟아오르는 거야." 탁.


4. 복수, 더 심연으로, 그러나 다시 균형을, 『독거미』

독거미
카테고리 소설 > 프랑스소설
지은이 티에리 종케 (마음산책, 2011년)
상세보기

짧기도 하거니와, 한 번에 밀어붙이는 힘이 있다. 기괴한 복종, 위태로운 도주, 그리고 처절한 감금. 세 갈래의 길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음침한 걸음을 옮기면 금새 막바지에 닿는다. '이유를 알 수 없는 감금' 모티브는 일견 「올드보이」의 복수극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여기 더해진 스톡홀름 증후군·리마 증후군이 인물들의 심리변화를 매력있게 끌어낸다. 막바지에 긴장감이 잘 조여있다. 이브와 리샤르가 '비밀'속에 덮어왔던 증오를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순간, 그리고 두 사람의 선택. '독거미'는 복수의 먹이를 철저한 씨실과 날실을 통해 옭아매는 리샤르를 칭한다. 그러나 어쩌면, 시소 저편의 인물이 '그 사람'일지라도 다시 균형을 잡지 않고서는 혼자서 도저히 살아갈 수 없는, 독을 품고서라도 매일같이 관계의 그물을 뿜어내는 인간상을 표상하는지도 모르겠다. "오후에 수영장에서 읽기 좋다"는 표현 딱 그만큼일지라도, 알렉스의 등장이 지나치게 우연적이라도, 작품은 분명히 재미있다. 그리고 이제, 알모도바르를 볼 차례다.